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이 한 번쯤은 겪는 국민병, 바로 허리 통증이죠. 대표적인 허리 통증의 원인은 추간판 협착증이나 협착, 신경통, 하지만 우리가 모르고 지나치는 허리 통증의 원인이 있습니다.
정형외과는 다양한 전문 분야로 나뉘어져 있는데 오늘 나온 몸신은 엉덩이 쪽으로 흔히 알고 있는 허리 통증의 원인은 허리 디스크가 놀리고 삐져나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져 생기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인데 요통 환자 중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협착증으로 진단받는 경우는 약 30~40%에 해당된다고 해요.
허리 통증 원인의 오해와 진실.
원인을 모르면 벗어날 수 없는 극심한 고통이 있게 됩니다. 허리, 엉덩이, 다리가 쑤신다면 가짜 허리 디스크, 엉덩이의 이상근 증후군입니다. 이상근 증후군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유사한 증상이에요. 그래서 별명이 가짜 허리 디스크예요. 퇴행성 변화라든지 외상에 의해 파열이 되면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며 허리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걸 요추 추간판 탈출증 허리디스크라고 하죠. 허리부터 발끝까지 통증이 이어지게 되요. 이상근 증후군도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요. 허리 디스크에 이상 소견이 없고 허리통증이 극심하다면 이상근 증후군을 의심해보라고 하네요. 허리 통증의 원인을 100으로 봤을 때 이상근의 문제는 60 정도 된다고 해요.
허리 통증의 싹을 자르려면 엉덩이의 이상근 증후군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그 이유를 알려면 이상근의 위치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상근은 앉았을 때 뒷주머니에 넣는 지갑이 닿는 부위로 손바닥 2/3 정도 크기이며 납작한 피라미드 모양의 근육이에요. 천 고로가 대퇴골을 연결하여 다리를 움직일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상근은 골반을 안정화하고 다리를 회전시키는 근육입니다.
골반 안정화란? 움직일 때 균형을 유지하면서 체중을 분산시키는 것. 다리 회전이란? 걸을 때 다리가 밖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것. 이상근은 한마디로 균형을 잡고 걷게 하는 근육입니다. 이상근에 이상이 생기면 걷고 중심을 잡는데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중심축 허리에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상근이 허리 통증과 연관된 또 하나의 이유는 척추 신경과 좌골 신경부위가 겹칩니다. 그 이유는 디스크가 빠져나와 누르는 척추 신경부위와 이상근 아래 좌골 신경이 눌리는 부위가 같아 통증이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원인은 다르지만 증상은 유사합니다.
이상근이 좌골신경을 누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이상근과 이상근 주변에 생기는 염증이 원인입니다. 이상근의 염증은 이상근도 혈액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오랜 기간 자세 불균형과 둔부 자극에 이상근이 늘리거나 뭉치면서 혈관 내 혈액이 고여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염증이 주변으로 퍼지면서 이상근과 신경이 협착됩니다.
이상근과 좌골신경은 엉덩이 살과는 상관없이 이상근은 과도하게 수축되면 두꺼워지고 크기가 커지면서 좌골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이상근이 커지는 이유는 자세 불균형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근육은 자극을 줘야 커지는데 자세가 나빠서 삐딱하게 앉거나 허리 통증이 오래되면 자연스레 엉덩이에 무리가 가게 됩니다. 또 허리 쪽부터 눌린 신경이 이상근을 자극하게 됩니다. 이상근은 커져도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해요. 하지만 속을 보면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허리 통증이 다리까지 내려오면 한쪽이 더 아파요. 이상근이 2배 정도 커지기도 하는데 손바닥만큼 커지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다리 꼬는 자세를 하면 엉치뼈가 틀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다리 꼬는 시간이 길어지면 근육이 짧고 굵어지고 좌우 불균형이 생기게 됩니다. 다리를 꼬는 경우는 발을 번갈아 가면서 꼬아주세요.
엉덩이와 하지 전체의 통증으로 인해 허리와 이상근 둘 다 문제예요. 잠잘 때 허리가 더 아픈 이유는 과도하게 긴장되어 있던 근육, 근막, 인대, 힘줄 같은 부위가 잠잘때 한 자세로 장시간 있게 되면 압박을 받기 때문이라고 해요. 이상근 때문에 허리 통증이 있을 때, 누워있는 자세가 엉덩이에 무리를 주면 좌골 신경은 더 압박을 받게 된다고 해요.
자가 진단 이상근 테스트!
옆으로 누워 통증이 있는 다리의 무릎 관절을 90도로 굽힌다.
한 손으로 골반을 고정하고 무릎을 외회전 할 때 다른 손으로 무릎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주세요. 이상근에 문제가 있다면 손으로 눌렀을 때 이상근에 통증 발생하고 손으로 눌렀을 때 못 버티면 이상근 약화 의심을 하셔야 합니다.
이상근 증후군 문제시 병원 치료는 1. 엎드려 누워서 이상근 부분을 눌렀을 때 극심한 통증이 있는분, 2. 30분 이상 앉아 있으면 엉덩이, 허리 통증이 있는 분, 3 똑바로 누웠을 때도 엉덩이, 허리 통증이 있는 분은 병원치료를 받으셔야 하고, 운동치료 할수 있는 사람은 1. 엎드려 누워서 이상근 부분을 눌렀을때 뻐근하면서 시원하신 분 2. 똑바로 누워 있으면 이상근 통증이 줄어드는 분이라고 해요.
테스트 후 본인의 상태를 점검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출처: channel A 나는 몸신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