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농구선수 허훈, 야구선수 황재균, 소유와 소녀시대 수영.
윤시윤. 배정남. 이들 스타들의 원픽!
체지방7%의 완벽한 보디라인을 가진 몸신!!
그리고 주치의!!
" 이것과 최대한 멀어져야 합니다."
미국 제임스 레빈 박사에 따르면 " 이것이 담배한갑반을 피운것만큼 건강에 해롭다고해요"
전 세계 320만명을 죽음으로 몰고간 이것.
무엇보다 중요한건 우리나라 10대부터 80대까지 이것때문에 통증을 겪고 있다는건데
화장실에서 일어날때 재채기할때도 비명이 나올만큼 고통스러운 디스크.
오늘의 주제도 디스크와 똑같은 통증을 유발하고
검사를 해보면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않음.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이 이것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고해요.
건강을 위해 여러분이 꼭 알아야할 이것.
디스크가 고통스러운 거는 결국
단지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것만으로 신경이 눌리기도 하고
추간판 탈충증으로 디스크 같은 통증이 발생하기도함.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누적될수록 우리 몸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걸 우리가 의자병이라고 하는데 의자병이 일으키는 문제와 증상은 다양함.
의자병으로 인한 상체와 하체의 문제와 증상에 대해 설명.
가성디스크에요.
가짜디스크로 정말 많은 분이 팔이나 다리가 저릿저릿하면서 통증이 생기면
대게 드디어 올게 왓구나. 나에게도 디스크가 찾아왔나 보구나.
하지만 실제로 디스크 검사를 해 보면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어요.
디스크와 똑같은 증상인데 디스크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 가성디스크인데
가성디스크의 원인은?
20대초반 대학생의 사례를 보면
1. 30분이상 앉아 있기 힘듦.
2. 엉덩이부터 발끝까지 저릿저릿한 통증을 호소함.
3. 디스크를 의심.
검사결과 디스크에는 이상이 없음.
디스크가 의심됐던 20대초반 대학생의 MRI 사진을 보면
신경을 누르고 있는 것의 정체는 바로 신경을 누르는 근육임.
의자에 오래 앉아 생활을 하면 뇌에서 보낸 명령과 상관없이 이미 근육이 수축되어 있는 경우가 문제임.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다 근육이 과하게 수축한 상태가 지속되면 근육이 신경을 눌러 저림 증상과 통증을 유발하는 병임.
증상이 똑같은 디스크와 가성 디스크.
허리에만 있는게 아니고 목이나 어깨에 가성 디스크 같은 증상이 발현될수도 있어요.
목, 어깨, 허리 고관절에 있는 근육들이 뭉치고 단단해지면서 신경을 누르면 상체, 하체 여러 군데에서 통증이 발생할수 있어요
근육이 뭉치기 가장 쉬운 부위가 목과 어깨에요.
의자에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으면 사각근과 소흉근이 긴장된 상태로 수축되고 수축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굳어지면서 상체에 의자병이 발생해요.
상완신경총이 압박받으면 목디스크처럼 팔이 저리고, 목과 어깨에 기분 나쁜 통증이 발생하게됨.
이 의자병이 통증만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질병의 위험률을 높이게 됩니다.
2015년도 캐나다에 있는 토론토재활연구소에서 41편의 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서 발표함.
악 소리나는 고통의 원인 의자의 저주.
망가진 내 몸상태를 알아보고 되돌릴수 있는 방법!!
벽에서서 양팔을 들어 팔이 벽까지 갈수 있는지 테스트.
벽에 허리를 붙이고 양팔을 들어 올리는 테스트.
집에서 벨트를 이용해 테스트해 보시면 됩니다.
의자의 저주 상체 테스트.
1. 벽에서 약 10~15cm 정도 떨어져 서서 무릎을 살짝 굽힌다.
2. 허리부위에 벨트나 벨트 두께 정도의 끈을 댄다.
3. 골반을 뒤로 기울여 등과 허리를 벽에 밀착한다.
끈이 빠지지 않도록 벽에 허리를 강하게 밀착하는 것이 중요함.
양팔을 일자로 들어 올려 벽에 붙인다.
끝이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양팔을 들어 올려 벽에 닿으면 정상.
의자에 오래 앉아 있으면 어깨가 말리고 등이 급어져요.
의자병으로 근육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팔을 들때 팔만 사용하지 않고 허리를 뒤로 젖히며 팔을 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허리를 벽에 밀착한다.
이 동작은 병원에서 환자들도 많이 하는 테스트라고해요.
실제 허리가 안 좋은 분들은 벽에 허리 붙이는 것도 힘든 일이죠. 벽에 허리를 붙이는 동작만으로도 코어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요.
문제가 생긴 근육을 잡을 방법은?
근근운동법!!!
1. 벽과 다리 사이에 20~30cm 거리를 두고 선다.
벽쪽에 팔을 90도정도 구부려 벽에 댄다.
3. 벽에 댄 어깨를 앞쪽으로 지그시 눌러준다.
시선은 벽에 댄 어깨 반대방향을 바라보고 허리에 아치가 생기지 않도록 복부에 힘을 줘 등을 일자로 유지하며 스트레칭하는게 중요해요.
약 20초간 유지할 것!!
1. 양손은 벽을 잡고 양발은 팔꿈치를 폈을때 골반 아래 위치하도록 선다.
2. 무릎을 살짝 구부리며 기지개 켜듯 겨드랑이 부위를 바닥 방향으로 내려준다.
허리에 아치가 생기지 않도록 아랫배에 힘을 주고 척추와 요추 부위 중립 자세를 유지하며 상체를 바닥 방향으로 스트레칭해준다.
한동작에 20초 정도 2~3세트 반복해서 진행해주세요.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수록 망가지는 몸.
치명적인 의자의 저주. 하체의 문제는?
앉아있을때 가장 많이 접히는 게 장요근이에요.
오래 앉는 시간이 누적될수록 뭉치고 굳어지는 장요근
수축된 장요근이 골반을 잡아당기면서 허리 통증을 발생함.
수축된 장요근 사이를 비집고 지나듯 가까이 붙어있는 대퇴 신경을 누름으로써 허리부터 발끝까지 자극해 디스크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요.
수축된 근육들을 틈날때마다 풀어줘야해요.
의자병으로 인해 틀어진 체형과 굳어진 근육을 바로잡지 못하고 운동을 많이 하면 몸에 통증이 발생해요.
하체테스트하기.
1. 반듯하게 누워 손에 깍지를 끼고 한쪽 모릎을 가슴 쪽으로 최대한 당긴다.
가슴쪽으로 당긴 반대쪽 다리가 바닥에서 뜨는지 확인하면됨.
다리가 바닥에 닿는다면 정상.
다리가 전체적으로 바닥에서 뜨건, 고관절이 틀어져 굴곡이 생긴다면 장요근이 상당히 수축된 상태임.
사례자는 양쪽 다리가 바닥에서 뜨는 것으로 봤을때 앉아있는 자세에서 영향을 받는 근육인 장요근이 긴장되고 단축.
근근하체 운동법!! 힐투히프
1. 왼발을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90도로 무릎을 구부린다.
2. 자세 잡기가 불편하면 주먹을 쥐고 문제가 없다면 손바닥은 아래로 향한다.
장요근이 너무 땅길 경우 바닥 위에 받침대 혹은 베개를 올려 자세를 잡아준다.
3. 다리를 뒤로 뻗으며 골반을 바닥쪽으로 천천히 밀어 장요근을 늘여준다.
어깨, 골반, 무릎이 대각선으로 직선이어야 해요.
허리와 골반이 말리면 장요근이 수축됐다는 증거.
숨을 내쉬며 20초동안 장요근 스트레칭!!
골반을 앞으로 쭊 내릴 때 보상 작용으로 무릎이 돌아가지 않도록 주의!!
이때 엉덩이에 힘을 주면 장요근 스트레핑 효과를 높일수 있어요.
20초동안 자세 유지후 힐투히프 동작으로 연결.
발을 엉덩이로 당기는 동작시 쥐가 날수 있으므로 디스크 환자나 노약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는 강도로 조절해 따라하기 바랍니다.
4. 엉덩이를 뒤로 보내고 왼손으로 오른쪽 발등을 잡아준다.
5. 발등을 잡고 장요근과 대퇴직근이 잘 늘어나도록 골반을 앞으로 밀어준다.
숨을 내쉬며 20초동안 골반 앞으로.
근근 하체 운동으로 짧아진 장요근, 대퇴직근 스트레칭.
<출처: channel A 나는 몸신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