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몸신이다에서 오늘의 주제는 당뇨병 발병 위험이 90% 심장병과 암 발병 위험이 20% 이렇게 엉덩이가 중요하다고 해요. 엉덩이가 당뇨병, 심장병, 암까지 관련되어 있다뇨. 엉덩이가 속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이유입니다.
엉덩이가 속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이유.
전신 근육에서 허벅지와 엉덩이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당뇨와 깊은 연관 관계가 있는 엉덩이 근육인데 우리가 움직이기 위해서 음식을 섭취하면 체내에서는 음식물을 소화하고 당을 생성합니다. 당은 에너지를 만드는 장기인 간과 에너지를 쓰는 근육으로 이동합니다. 근육을 키우는 것처럼 간의 크기는 커질 수가 없죠. 사람마다 간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죠. 만약 음식 섭취를 통해 당이 100개 정도 만들어졌고 간이 당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20개라고 가정할 경우 근육에서 80개의 당을 다 쓰지 못한다고 해요. 그러면 남은 당은 혈액 속에 남게 됩니다. 혈액 속 남은 당 처리를 위한 인슐린 과다 분비로 나머지 당 처리가 힘든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합니다. 이것이 바로 당뇨로 가는 과정입니다. 당을 쓰는 창고가 넓어져서 무리할 일이 없어지는 인슐린 즉 당뇨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고 해요. 중요한 건 엉덩이는 전신 근육 중에서도 큰 근육이기 때문에 엉덩이 근육을 키우면 가장 큰 창고를 가지는 셈이라고 해요.
혈액 속에 당이 많으면 심장병과 암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고 혈전은 혈관에 쌓이고 혈관의 탄력성을 떨어뜨려서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암의 발병 위험까지 높인다고 해요.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고 당뇨병, 심장병, 암 발생 위험이 높다고 해요. 한 연구에 의하면 쥐의 엉덩이 지방을 다른 쥐에게 이식한 결과 체지방이 감소하고 인슐린 기능이 향상되어 엉덩이에 있는 피하지방은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됐다고 해요.
엉덩이가 건강해야 뼈도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면 뼈의 골밀도가 낮아 골다공증, 낙상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해요.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면 골반, 고관절, 척추 모두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그리고 골반뼈와 허벅지의 뼈를 이어주는 대퇴골이 있는 엉덩이 그리고 대퇴골 위쪽 끝에 공처럼 둥근 부분이 대퇴골두예요. 대퇴골두는 혈관 크기가 좁고 모세혈관 수가 적어 혈액 순환에 매우 취약한 부위라고 해요. 골반의 불균형으로 인해 영향을 쉽게 받는다고 해요. 대퇴골두에 정상적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할 경우 뼈세포와 조직이 괴사 된다고 해요. 초기에는 어떠한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거라고 해요. 엉덩이와 골반통을 느끼기 시작했을 때는 이미 괴사가 상당히 진행되었을 확률이 크다고 해요.
오래 앉아있거나 엉덩이뼈가 뾰족하다고 아프다고 하는데 실제 노화로 인해 엉덩이 살이 처지면서 앉을 때와 일어설 때 통증이 생기기도 하고 바닥에 닿는 엉덩이 아래쪽 부위가 착색되기도 한다고 해요. 목욕탕 가면 보신 적 있으실 거예요.
착색된 부위가 엉덩이와 골반 아래, 좌골의 궁둥뼈 부분으로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면 엉덩이 쿠션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이에요. 앉을 때 닿는 골반 아래 뾰족한 부위에는 관절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점액낭이 있어요. 점액낭은 체중을 견디고 충격을 흡수한다고 해요. 점액낭이 있는 이 부위 쿠션 기능이 약해져 혈관과 신경에 심한 압박이 발생하면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겨서 조직이 괴사될 위험이 있다고해요. 이 경우에는 괴사한 조직을 제거하고 새로운 조직을 이식하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고해요.
좌골 점액낭에 염증이 생긴 것이 좌골 점액낭염이에요. 심하면 피부괴사 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해요. 일단 엉덩이를 튼튼하게 관리하고 평소 오래 앉아 있는 습관을 버리는게 필요하다고해요. 이래야 신경이 압박을 받지 않고 염증이 생기지 않습니다.
WHR 계산하는 법.
나의 엉덩이가 예전 같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본인 스스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엉덩이와 허리의 비율로 알 수가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허리와 엉덩이 비율 WHR입니다.
WHR이란? 허리 waist, 엉덩이 hip 비율 ratio
허리둘레/엉덩이둘레로 계산하여 복부지방률을 확인하는 거예요. 남자 정상기준은 0.9 이하 여자 정성 기준은 0.8 이하입니다. 엉덩이와 허리 두 곳이 적절한 비율로 유지하는 게 중요해요. 수치가 0.01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이 약 5%나 높아진다고 해요. 0.07씩 높을수록 대장암 위험이 약 25%가 증가한다고 해요. 그뿐만 아니라 WHR 수치가 높은 사람의 경우 동맥경화 위험이 약 3배 증가 관상동맥 질환 사망률이 약 3.3배 증가한다고해요. 수치가 낮을수록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약 19%로 낮아집니다. 허리둘레가 26인치로 0.3WHR이 더큰 허리둘레 36인치라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약 30배 150% 증가한다고해요.
WHR 측정법.
줄자가 허리와 수평을 유지하며 배꼽을 지나가도록 허리둘레를 측정합니다.
엉덩이가 가장 많이 튀어나온 곳을 기준으로 엉덩이 둘레를 측정합니다.
<출처: channel A 나는 몸신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