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관한 모든것.

엄지의 제왕, 여름 뇌졸중 증가 땀 때문일까? 혈관 탄력을 높이는 방법

by 속좁은펭귄 2023. 7. 18.
반응형

여름이면 뇌졸중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땀 때문일까요?

 

무더위에 많은 땀을 흘리면 혈액 속 수분 함량이 감소합니다. 끈적해진 혈액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질 위험이 높아집니다. 혈관 탄력이 좋으면 뇌졸중 위험이 덜하지만, 여름철 땡볕에서 일하거나 고령 또는 다른 질환이 있는 경우, 혈관 탄력이 떨어져 뇌졸중 위험이 증가합니다. 

탄력 있는 혈관은 혈액이 심장에서 뇌까지 원활하게 순환을 하는데 반면 탄력을 잃은 혈관은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혈관이 터져버리게 됩니다. 

 

혈관 탄력을 높이는 방법은?!

 

심혈관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은 바로 산화질소입니다. 

산화질소란 혈관 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일종의 혈관 보호 물질입니다. 혈관 수축을 막아 혈류 조절과 혈전 생성을 억제합니다. 노벨상은 산화질소를 발견한 교수가 수상을 했는데 바로 루이스 이그나로 박사라고해요.

 

 

산화질소를 늘리는 방법은 바로 아르기닌이라고 해요.

주로 운동할 때 섭취하는게 아르기닌인데 피곤하거나 숙취 심할 때 많이 찾는게 아르기닌인데 아르기닌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입니다. 아미노산 중 유일하게 산화질소를 생성합니다. 

혈관 건강 지키는데 아르기닌이 주는 영향은 산화질소의 가장 큰 역할이 혈관의 수축, 이완에 도움을 줍니다. 월활한 혈관 수축, 이완은 혈관 탄력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성인 남성 7명에게 10일간 고지방 식사를 하면서 11일째 아르기닌 6g을 섭취했는데 섭취전과 후가 차이가 많이 났다고 해요.

 

 

특히 혈관 탄력이 중요한 중년여성은 HDL이 낮고 LDL은 높은데 혈관 탄력을 유지해주고 혈액 농도 조절기능이 떨어집니다. 

 

 

아르기닌은 혈관 확장, 이완을 도와 혈관 탄력 증진에 영향을 줍니다. 동맥경화 예방에도 도움을줍니다. 

 

 

나이 들수록 혈관 탄력이 줄어들고 심혈관 질환 위험이 커져요.

음식으로 아르기닌을 보충하는 방법은콩, 어패류에 아르기닌이 풍부한데 아르기닌은 하루 섭취 권장량이 6g인데 식품으로 섭취하려면 장어 565g 약 2마리, 강낭콩 1.1kg 돼지고기는 569g약 3인분,닭가슴살은 349g을 섭취해야 합니다. 매일 이렇게 먹을 수는 없잖아요. 

아르기닌을 음식을 통해 섭취하면? 흡수 과정에서 다른 아미노산과 경쟁하면서 아르기닌 흡수율이 떨어집니다. 한국인 아르기닌 평균 섭취량은 3.6g으로 권장량의 절반 수준입니다.  스트레스, 수술,외상 , 성장기 어린이 역시 아르기닌 체내 요구량을 증가시킵니다.  아르기닌 추가 공급이 필요합니다.  아르기닌 단일 성분 섭취가 체내 흡수율이 증가합니다. 

 

아르기닌 효율적으로 섭취하는 방법은??

액체 형태로 간편하게 섭취 가능한 아르기닌을 판다고 해요. 상큼하고 새콤하다고 하네요.

아르기닌은 근육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운동으로 쌓인 피로해소에 도움을 줍니다. 피로 유발 물질인 암모니아의 수치 감소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입니다.

아르기닌이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이유는 신부전,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성 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저하, 신부전증을 유발합니다. 한마디로 혈압 높으면 온몸이 공격받는 셈이에요.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 수는?!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30대 고혈압 환자도 증가하고 있죠. 고혈압 환자 천만 시대입니다. 국내 성인 약 30%는 고혈압 환자입니다.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고혈압 환자.

 

 

아르기닌 섭취시  주의점은? 과다 복용 시 구토, 메스꺼움, 설사, 복부 팽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루 섭취 권장량 6000mg 준수해주세요. 심혈관 및 신장 질환, 천식, 통풍 환자 등은 섭취전 전문의와 상의를 권장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인정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해 주세요.

 

출처: 엄지의 제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