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관한 모든것.

엄지의 제왕, 근육키워 당뇨병 잡는 법, 당뇨에 도움되는 식재료, 발효단백질의 효능.

by 속좁은펭귄 2021. 7. 27.
반응형

당뇨병 발생 위험 23% 감소시켜주고, 음식 섭취량 감소를 도와 체중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식재료가 있다고 해요. 단백질을 저분자화해 소화 흡수율이 좋다고 해요. 건강한 식재료로 챙겨 먹기 불편하다면 이런 건강식품을 챙겨 먹는 것도 좋아요.

 

 

 

근육키워 당뇨병 잡는 법, 당뇨에 도움 되는 식재료, 발효 단백질의 효능.

발효 단백질은 완두콩을 발효해서 만든 식물성 단백질입니다. 청국장, 된장, 김치 등은 건강에 좋은 발효식품이죠. 완두콩을 발효하면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합니다. 한국 기능식품연구원 2020에 따르면 필수 아미노산 함량애 100g당 완두콩이 76.75mg 발효 완두콩은 651.18mg이에요.

완두콩은 유전자 변형 없는 논 GMO 식품으로 인체 영양과 기능성 의약 2017에 따르면 유전자 변형 식품은 알레르기, 불임, 내장기관 손상, 인슐린 조절 문제, 위장기능 장애를 유발한 다 고해요. 완두 단백질은 대두 단백질 대비 논 GMO식품으로 가공보조제,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요. 유전자 변형으로부터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입니다. 완두콩보다 발효 단백질을 드시는 게 좋습니다.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으로 한국인 기준 단백질 권장량은 50세 이상 남성은 60g 50세이상 여성은 50g입니다. 완두콩 말린 게 100g 당 단백질 20.7g이에요. 완두콩 섭취 시 하루 평균 200~300g 정도 먹어야 합니다. 그래서 발효 단백질 형태로 섭취할 것을 추천한다고 해요.

우유 먹는 사람 중에 소화 안 되는 사람이 많죠. 유당 불내증은 우유 마시면 배앓이를 하는 등 유당 소화를 못 시키는 증상으로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1988에 따르면 한국 성인 4명 중 3명이 유당 불내증이라고 해요. 식물성 단백질의 경우 유당 불내증 있는 분도 섭취가 가능합니다.

미국 의사협회지 내과학 2020에 따르면 동물성 단백질을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했더니 조기 사망 위험도 감소했다고 해요. 16년간 남성 23만여명, 여성 17만여명의 식습관을 분석한 결과 1000kcal 동물성 단백질 대신 식물성 단백질 10g 씩 대체했다고해요. 그랬더니 남성 사망률이 12% 감소, 여성은 사망률이 14% 감소했다고해요.

근육 필수조건은 단백질입니다.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동물성 단백질만큼 좋다고 해요. MDPI_스포츠 저널 2019에 따르면  평소 운동을 많이 하는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유청단백과 우유를 먹는 그룹과 완두 단백을 먹는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8주 후 운동능력은 비슷하게 상승했다고 해요.

보건업 종사 남녀 대상으로 1~5단계 나눠 단백질 섭취량을 차별화한 결과(미국 역학 저널 2016)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이 많을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이 13% 증가했고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릴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이 9% 감소했다고 해요. 동물성 단백질 섭취그룹을 식물성 단백으로 바꾸자 당뇨병 위험 23% 감소했다고해요.

 

발효 단백질 특징.

1. 근육 생성에 도움을 줍니다. 18세부터 35세 남성 161명을 12주 동안 근육 저항 운동 후 하루 두 번씩 25g을 섭취한 결과 완두 단백을 섭취한 사람은 근육 두께가 20.2% 증가, 유청단백은 근육두께가 15.6% 증가, 위약은 근육두께가 8.6% 증가했다고 해요.

2. 빠른 흡수율이 특징입니다. 

완두 단백 발효는 기존 완두 대비 82.8배 저분자화 시킨 거예요. 저분자화로 흡수율이 증가하고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저분자 단백질의 흡수율을 실험한 결과 고분자 단백질과 저분자 단백질에 위산인 아세톤을 붓고 소화 과정을 확인해보니 저분자가 금방 녹더라고요. 완두 단백 5시간 발효하면 단백질 분해 효소인 키모트립신이 활성화됩니다.

3. 체중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20~30세 남성 19명을 대상으로 토마토 수프 vs 대두단백 vs 완두 단백으로 연구한 구엘프 대학 연구원 2020 결과 완두 단백이 음식 섭취량이 감소했다고 해요. 콜린은 지방 대사와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데 콜린은 콜레스테롤이 동맥, 담낭에 축적되지 않게 도움을 준다고 해요.

 

발효 단백질 먹는 법.

발효 단백질 35g을 물 250ml에 섞어 마신다. 단백질 섭취가 과하면 간, 신장에 부담이 간다고 해요. 고칼슘혈증, 의약품 복용 시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출처: MBN 엄지의 제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