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야기

인터넷, 정부24에서 전입신고 하는 법.

by 속좁은펭귄 2023. 12. 12.
반응형

이사를 하고나서 전입신고를 하러 해당 주민센터를 찾아가는 것도 번거롭기도하고 일이더라고요. 그래서 찾아보니 정부 24에서 본인인증만 할 수 있으면 바로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물론 주말엔 접수만되고 해달 처리는 월요일 공무원이 출근해야 가능합니다. 

 

정부24에서 전입신고 하는 법.

혹시 주소를 모르는 분도 있으실까요? 정부24로 바로가기 

우선 본인인증을 한번 해야합니다. 페이코, 네이버, 인증서들 토스, 통신사 pass를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본인 인증을 마치게 되면 아래와같이 온라인 전입신고 유의사항에 대해서 나옵니다.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는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이 신청하면서 세대주를 포함하여 이사하는 경우, 예를 들어 딸인 내가 다른 곳에 있다가 부모님이 있는 주소로 전입신고를 하게된다면 세대주가 아버지라면 세대주 확인라는 절차를 한번 거쳐야합니다. 또는 세대주 변경이 있는 경우,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에 확인을 해야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는 신청인이 미성년자인 경우, 기존 세대가 살고 있는 곳에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입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신청인의 이름과 연락처가 나오고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해 주세요. 요건 참고용이라 별로 중요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해당 사항에 체크해주세요.

 

 

 

이사할 곳의 주소를 검색해주세요. 다가구 주택여부를 선택해주면 적은 내용들에대해서 나오고 한번 확인한 다음 신청안내 확인을 눌러주세요.

이사할 곳의 주소를 넣고나면 초등학교 배정정보, 우편물  이전 서비스신청,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신청 , 요금감면신청을 할 땐 고객번호를 알아야합니다. 그리고 이, 통장등의 전입신고 사후확인 생략을 위한 서류제출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아무도 살 지 않는 곳으로 전입신고를 할때는 여기서 끝입니다. 주민센터 운영시간에 공무원들이 출근했거나 하고 있을땐 바로 처리해 줍니다. 저는 토요일에 신청했더니 월요일 아침 9시 40분쯤 처리되었다고 문자로 오더라고요.

 

그런데 만약 살고 있는 세대로의 전입신고라면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세대주 확인신청은 정부 24에서 서비스에서 사실/진위확인에서 세대주확인을 해주면되는데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아니면 이사온 곳의 관할 주민센터에 신분증을 지참해서 방문하셔도 좋습니다. 세대주 확인이 이루어지면 전입신고가 처리되었다고 문자가 옵니다. 

 

 

반응형

댓글